IP(인터넷 프로토콜)
복잡한 인터넷 망에서 해외에 있는 친구한테 보내려면 특정한 규칙이 필요한데, 그게 바로 IP주소를 통해서 가능해진다.
IP 역할
- 지정한 IP 주소(IP Address)에 데이터 전달
- 패킷(Packet)이라는 통신 단위로 데이터 전달
* IP 패킷 정보에는 출발지 IP, 목적지 IP, 메시지, 기타 등등이 들어있다.
1. 클라이언트가인 IP 패킷을 인터넷 망에 던진다.
2. IP 프로토콜에서 서버들이 다 규약을 따르기 때문에 출발지와 목적지가 뭔지 이해한다.
3. 서로 노드들끼리 던진다.
4. 최종적으로 IP가 200.200.200.2인 사람한테 도착하게된다.
이제 그 친구도 받았으니 똑같이 다시 보내준다.
*주의: 인터넷 망이 복잡하다보니 내가 친구한테 보낸거랑 친구가 다시 나한테 보낸거랑 서로 다른 곳으로 전달 될 수가 있다!
그리고 IP 패킷에 담아서 보내는 방식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IP 프로토콜의 한계
- 비연결성:
패킷을 받을 대상이 없거나 불능 상태여도 패킷 전송. 예를 들자면, 친구는 그 집에 안 사는데 나는 편지 봉투를 그 집에다 보내는 것이랑 비슷하다고 보면된다.
- 비신뢰성:
중간에 패킷이 사라지거나 순서대로 안 올 수도 있음.
1. 패킷 손실
중간에 서버가 문제가 생기면 패킷이 손실된다. 그리고 손실되도 모른다.
2. 패킷 전달 순서 문제 발생
패킷의 용량이 되게 클 때가 있는데, 그럴 때는 끊어서 보낸다. 예를 들자면, Hello World를 보내야하는데 저게 크기가 1500바이트여서 매우 커서 끊어서 보내야하는데 그래서 Hello, world!로 끊어서 보냈지만 상대는 world! Hello로 받을 수가 있다.
- 프로그램 구분:
같은 IP를 사용하는 서버에서 통신하는 애플리케이션이 둘 이상일 때 그것을 구분한다는 점에서 어려움을 겪는다.
이런 위 문제들을 해결해주는게 TCP, UDP이다. 다음에는 TCP와 UDP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HTTP 웹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 기본1(모든 것이 HTTP,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0) | 2022.01.06 |
---|---|
웹 브라우저 요청 흐름 (0) | 2022.01.06 |
URI (0) | 2022.01.06 |
인터넷 네트워크3 (PORT, DNS) (0) | 2022.01.06 |
인터넷 네트워크2 (TCP, UDP) (0) | 2022.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