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 웹 지식

웹 브라우저 요청 흐름

귀요미찰쓰 2022. 1. 6. 17:56
728x90
반응형

반응형

위 사진처럼 웹 브라우저에서 서버로 요청할 경우를 알아보쟈.

 

- 웹브라우저가 먼저 DNS 서버를 조회해준다.

- 포트는 생략가능하니 IP와 PORT 정보를 알아낸다.

- HTTP 요청 메시지 생성해준다.

 

 

 

HTTP 요청 메시지 어떻게 생겼나?

 

 

HTTP 메시지 전송

- 이 애플리케이션에서 웹브라우저가 먼저 HTTP 메시지를 생성해준다.

- SOCKET 라이브러리를 통해서 OS의 TCP/IP 계층에다가 전달

- HTTP 메시지에 IP와 PORT 정보가 들어있는 패킷을 씌워서 (캡슐화) TCP/IP 패킷을 생성해준다. 

- 그리고 그 해당 패킷을 인터넷 망으로 던진다.

 

 

그리고 위 전송 데이터는 웹 브라우저가 만든 HTTP 메시지입니다.

 

 

패킷을 인터넷 망에 던진다. 그러면 수많은 노드들을 통해서 저 서버에 전달이 된다.

 

 

 

그러면 그 요청한 패킷이 서버에 도착하면 TCP IP를 다 까서 버린다. 그중에서 HTTP 메시지를 끄집어낸 다음에 그것을 가지고 해석을한다. 그 해석을 통해서 요청을 처리한다. 그리고 그 해당 요처엥 대한 HTTP 응답 메시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위와 똑같은 방법으로 서버에서 응답 패킷 전달한다.

 

 

그리고 웹 브라우저는 수신한 응답 패킷을 역캡슐화해서 HTTP 응답 메시지를 꺼내고, 해당 메시지에 있는 HTML을 렌더링해서 보여준다.

 

반응형

'HTTP 웹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 기본2(Stateful, Stateless)  (0) 2022.01.06
HTTP 기본1(모든 것이 HTTP,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0) 2022.01.06
URI  (0) 2022.01.06
인터넷 네트워크3 (PORT, DNS)  (0) 2022.01.06
인터넷 네트워크2 (TCP, UDP)  (0) 2022.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