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송 방식
- Transfer-Encoding
- Range, Content-Range
전송 방식 설명
- 단순 전송
- 압축 전송
- 분할 전송
- 범위 전송
전송 방식을 나누면 크게 4가지로 나눠지게 됩니다.
첫번째 단순 전송은 그냥 요청을하게되면 응답을 주는데 위 메시지 바디에 대한 Content-Length를 딱 지정하는겁니다. 이 전송은 Content에 대한 길이를 알 수 있을 때 사용하는겁니다. 한번에 요청하고 한번에 응답을 받는겁니다.
압축 전송은 서버에서 방금 메시지를 예를들어서 gzip으로 압축해주는겁니다. 그러면 용량이 매우 줄어들겠죠. 그런데 이 때는 Content-Encoding을 무조건 넣어줘야합니다.
그 다음에 분할 전송이라는게 있습니다. 분할 전송은 Transfer-Encoding이라는걸 쓰는데요. Transfer-Encoding에 chunked라고 넣어주면 됩니다. chunked는 덩어리를 쪼개서 보낸다는 뜻입니다.
그 경우에는 위 사진처럼 쪼개서 보내주면 됩니다.
중요! 분할 전송에는 Content-Length를 넣으면 안됩니다.
그 다음에는 범위 전송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범위 전송 같은 경우에는 위처럼 범위를 지정해서 요청하는겁니다.
반응형
'HTTP 웹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 일반 헤더1-일반 헤더(인증) (0) | 2022.01.15 |
---|---|
HTTP 일반 헤더1-일반 헤더(일반 정보) (0) | 2022.01.15 |
HTTP 일반 헤더1-일반 헤더(콘텐츠 협상) (0) | 2022.01.15 |
HTTP 일반 헤더1-일반 헤더(표현 헤더) (0) | 2022.01.15 |
HTTP 일반 헤더1- 일반 헤더(HTTP 헤더 개요) (0) | 2022.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