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반응형
해상도 설정하는 방법
- 바탕화면에서 우클릭을 해준다
- 그다음 디스플레이 설정 들어간다.
- 해상도 설정 자기가 원하는 걸로 해주면 된다.
ㅁ호스트키 바꾸는 방법
- 입력 → 키보드 → 키보드 설정 들어간다
- 호스트키 조합을 Ctrl + Alt로 설정해준다
- 입력 → 키보드 → 키보드 설정 들어간다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SSH:
Telnet: Tele network의 합성어로 원격에 있는 컴퓨터 등에 접속할 수 있게 도와주는 서비스입니다.
배운 명령어 종류
ifconfig: 활성화된 인터페이스의 세부 사항을 표시

inet: ip주소 이름
broadcast: 호스트 주소의 최대 값
inet6: ipv6 주소
RX packet: 받는 패킷
Rx errors 옆에 dropped가 있는데 그것도 오류라고 생각하면 된다
TX: 내가 보낸것
lo: 자신을 가르키는 가상 어뎁터
ls: 윈도우의 dir와 같이 디렉터리에 있는 내용(디렉터리, 파일)등을 확인해준다.
ls-al: 훨씬 더 많은 정보를 볼 수 있다.
a: 모든 파일 보기, l: 더더욱 자세히 보기
man:
- 어떤 명령어가 있다는 것과 어떤 상황에서 무엇을 확인하고자 할 때 사용
- 어떤 명령어를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여는데 사용.
영역별 의미:
- SYNOPSIS: 명령어 사용법
- DESCRIPTION: 명령어에 대한 간략한 설명 및 사용 가능한 옵션
cd: 디렉터리 이동 명령어
cd.. : 상위 디렉터리로 돌아감
cd: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로 이동
cd ~/: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의 서브디렉토리로 이동
cs -: 방금전에 있던 디렉터리로 이동
pwd: 자신이 지금 위치한 디렉터리를 알려줌
mkdir: 디렉터리 생성
touch: 빈 파일 생성
cp: 파일 복사
예) cp aa bb → bb가 aa랑 똑같은 파일이 된다.
경로
- 절대 경로: 루트부터 시작하는 경로
- 상대 경로: 내가 현재 있는 위치 기준으로 경로
반응형
'서버구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서버 기초 명령어1 (1) | 2021.12.09 |
---|---|
리눅스 사용자, 그룹 관리 (0) | 2021.11.03 |
리눅스 명령어 정리2 (0) | 2021.11.03 |
리눅스 명령어 정리1 (0) | 2021.11.03 |
서버구축 관련 공지사항 (1) | 2021.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