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경제 공부

파생상품, 선물

귀요미찰쓰 2022. 9. 30. 12:06
728x90
반응형
반응형

파생상품 

파 = 갈래 파

생 = 날 생

 

어떤 기본이 되는 뭔가가 있고 거기서 갈라져 나온 것을 두고 파생됐다라고 표현을 합니다.

 

증시에서의 파생이란?

일단 두 가지 개념을 이해해야 합니다.

1. 기초자산: 거래가 가능한 모든 자산, 거래할 때 굉장히 단순합니다.

             - 주식

             - 채권

             - 부동산 

             - 금

             - 은

 

    

살 때는 최대한 싸게 사서 시세차익을 남기는게 기초자산에 투자하는 방법!

 

2. 파생상품: 기초자산에서 파생되어 갈라져 나온 것

 

파생상품은 시체차익을 남기는 방식과는 다릅니다.

가격 자체가 아니라 가격의 움직임에 베팅하는게 파생상품!

 

(예를 들어) 구글의 주식이 내려가는 데에 배팅

주식이 오른다고 내가 돈을 버는게 아니라 주가의 움직임에 베팅을 하는 것

근데 이게 굉장히 다양한 조건들이 나올 수가 있습니다.

- 올랐을 때 수익을 얻는다.

- 내렸을 때 수익을 얻는다.

- 몇 개월 이내에 +-10% 이내에서 움직이면 수익을 얻는다.

 

파생 상품은 기초자산 투자 시장보다 훨씬 더 시장 규모가 큽니다.

파생 상품 투자는 일반적인 투자자들한테 굉장히 위험할 수 있다. 리스크가 큰 만큼 기대수익률도 높긴 하지만 큰 돈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워렌버핏이 파생상품에 관해서 한 말:

파생상품은 대량학살을 위한 금융 무기다. 

 

파생상품의 대표적인 사례: 선물

 

선물: 먼저 거래를 하는 것

 

선물거래의 특징: 만기일이 있다!

월 단위로 만기가 정해져있어서 '~월물'로 만기를 표시합니다

월마다 선물 상품이 거래됩니다

 

선물투자가 원자재(금, 원유, 농작물 등)에만 있는게 아니라 개별로 상장된 주식들과 주가지수에도 선물투자를 합니다.

 

총 4가지 파생상품의 만기일이 겹치는 날이여서 숨어있떤 파생상품 매물이 나오면서 증시가 하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게 왜 그런거냐면 선물투자했을 때 만기일이 다가오면 제가 할 수 있는 선택이 몇가지 있습니다. 

실제로 옥수수 선물 투자하고 (진짜) 옥수수 받기

1. 실물인수도

2. 만기일을 연장(롤오버)

3. 청산: 손익이 생겼을 텐데 그냥 그거를 시장에 파는, 즉 청산을 하는 겁니다. 내가 직접 할 수도 있고, 증권사가 강제로 해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만기일이 겹치는 날에 변동성이 커지는 이유?

 

주식이나 주가지수에 연동된 선물 상품을 사람들이  청산할 때 주식 매물이 갑자기 확 매도가 되는 경향이 있거든요 프로그램 매매라는 매매방식이 있는데 기관, 외국인 등 큰 규모로 거래하는 곳들이 아예 시스템을 만들어 놓고 자동으로 매매되게 해놓은 것!

만기일이 다가오면 손해는 줄이고 이익은 늘리기 위해서 막 체결하고 청산을 하면서 갑자기 시장에 관련된 매물이 우르르 쏟아져 나오는 그런 상황이 올 수도 있다! 어떤 경우에는 사람들이 오히려 주식을 파는게 아니라 사가기도 해요. 어떻게 움직일지 예측을 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만기일이 겹치는 날에는 웬만하면 일반 투자자 분들은 이 때는 좀 지켜보는게 좋다라고 얘기를 하는 것입니다.

 

 

 

 

 

 

 

 

 

 

 

 

 

 

반응형

'금융, 경제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모펀드와 공모펀드 차이점  (0) 2022.11.25
펀드란?  (2) 2022.11.25
상장(주식)  (0) 2022.09.29
우리나라 주식시장과 주가지수  (1) 2022.09.28
증권, 주식, 채권 개념 공부  (0) 2022.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