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경제 공부

증권, 주식, 채권 개념 공부

귀요미찰쓰 2022. 9. 28. 14:51
728x90
반응형
반응형

저는 인공지능 기반 투자 솔루션 회사를 다니고 있습니다. 입사한지 얼마 안되었는데 입사하자마자 든 생각이 금융 기초 개념을 어떻게든 다져야겠다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이 기회에 경제, 금융 공부를 해보자라는 생각이 들어서 관련된 개념들을 공부하고 블로그에 정리해보자라는 결심을 하게 되었습니다.

 

 

증시 = 증권시장

증시는 증권시장의 약자고 증권을 사고 파는 시장이라는 뜻입니다.

 

증권이란? 

증권 = 어떤 증거가 되는 문서나 서류

보통 증권을 얘기할 때 유가 증권을 얘기합니다.

유가 증권 = 가치가 있는 뭔가를 증명하는 종이

 

구체적으로 유가 증권의 종류를 하나하나 설명드리자면,

 

1. 화폐 증권

ex) 지폐, 상품권, 쿠폰, 수표

2. 상품 증권: 어떤 물건의 권리를 명시한 증권

              - 배에 실려있는, 운송된 화물들 또는 창고에 있는 화물들 <- '이것의 소유권이 너에게 있다'를 증명하기 위해 상품                  증권을 발행하곤했습니다.

3. 자본 증권: 어떤 자본이 나에게 있다는 증거가 되는 문서

ex) (과거) 종이 -> (요즘) 전자 형태

 

 

자본증권을 자세히 보자면,

 

자본증권

예를 들자면,

채권, 주식, 수익증권, 선물옵션

 

이 자본증권을 거래하는 시장 = 증권시장

주식 시장과 채권 시장을 크게 말하면 증권시장에 포함이 됩니다.

 

채권이란?

채권 = 빚 문서

 

얼마를 언제까지 갚을지 그리고 금리(이자)는 얼만큼 붙일지 이런 것들을 적어서 발행하는게 채권입니다.

채권은 정부, 지방정부, 은행 회사 등에서 발행합니다.

 

정부, 지방정부에서 발행할 때는 국체

은행에서 발행할 때는 은행체

회사에서 발행할 때는 회사체

 

* 채권은 목적이 있고 발행 주체는 국가, 회사, 은행 등이 있습니다!

 

 

회사가 채권을 발행하면서 회사는 일반 투자자랑 기업 투자자한테 채권을 주고 돈을 받습니다. (회사가 투자자로부터) 돈을 받고 (나중에 회사가) 갚을 때 이 채권에 대해서도 (회사가) 이자를 제공해야합니다. 회사의

신용등급에 따라서 그 이자가 달라지게 됩니다. 회사의 신용등급이 높으면 채권 금리가 낮아지게 되고

회사의 신용등급이 낮으면 채권 금리가 높아지게 됩니다. 그래서 큰 회사 입장에서는 채권을 발행해서 돈을 끌어와도 이자 부담이 적습니다. 

이건 국가의 경우에도 마찬가지!

국채를 발행한 국가가 신용 등급이 낮으면 그 국가의 금리도 높습니다. 그래서 신흥국이나 개발도상국에서 발행한 국채의 금리가 높은 것입니다!

 

 

일단 주식에 대해서 먼저 알아가기 전에 자본금에 대한 개념을 먼저 알아야합니다.

 

일반 개인이 설립한 개인사업자 회사는 회사의 주인이 개인이라고 봐도 괜찮습니다. 그런데 주식회사(법인)는 회사의 주인이 누구다! 라고 확실하게 얘기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이 주식 자체 회사의 근간을 이루기 때문입니다,

회사를 처음 설립할 때는 자본금을 모아서 시작합니다. 이 자본금을 주식이라는 단위로 쪼개서 자본금을 출자한 만큼 그 사람에게 주식이라는 증권을 줍니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너에게 이 회사에 대한 소유권이 이만큼 있다를 증명하는 것!

 

주식이란?

주식 = 회사의 자본금을 구성하는 단위

 

이후에 이 주식이 시장에서 비싸게 팔릴 수도 있습니다.

이 시장에서의 가격을 주가라고 부릅니다!

주가 = 시세, 시장가

그래서 이 주식을 많이 갖고 있는 사람일수록 힘이 세다.

 

 

주식과 채권의 차이점!

채권은 사업이 있을 때 필요하면 발행하는데 주식은 그렇게 쉽게 발행되지 않습니다.

설립할 때 처음 발행한 주식를 구주라 부릅니다.

회사가 상장할 때 새로 발행한 주식을 신주(공모주)라 부릅니다.

주식을 더 발행하는 또 다른 방법은 = 증자!(자본금을 늘린다는 뜻)

 

이렇게 주식과 채권은 다릅니다.

 

주식:

1. 시세차익: 가격이 쌀 때 사고 비쌀 때 팜

2. 배당금

 

이게 수익을 얻는 구조이다.

 

채권:

1. 만기 이자: 만기가 됐을 때 이자를 받는 것

2. 시세차익

3. 할인채: 처음 발행할 때부터 채권을 할인된 가격에 사서, 본래 가격을 받고 팔아 차익을 남기기도 합니다.

 

 

요약 정리

 

증권

- 증거가 되는 문서나 서류

- 화폐증권, 상품증권, 자본증권으로 나뉨

- 화폐증권: 한국은행권, 수표, 지역화폐 등

- 상품증권: 화물증권

- 자본증권: 주식, 채권 등

- 증권시장: 자본증권을 거래하는 시장

- 주식시장: 증권시장 내에서도 주식을 거래하는 시장을 말함

 

주식

- 회사의 주주가 갖고 있는 지분을 증명하는 문서

- 회사의 자본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단위

- 1주의 액면가가 있지만, 시자에서 1주의 가격은 더 비싸지기도 함(시장가)

- 주식 투자 방법: 

                            1. 시세차익

                            2. 배당금

 

 

 

 

 

 

 

 

 

 

 

 

 

 

 

 

반응형